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

부동산: 시장경제원리에 맡겨줘 사실 부동산은 국민 경제심리의 바로미터입니다. 거래량, 문의량, 매수심리 하나하나에 사회 전체의 신뢰도와 기대치가 담겨 있지요부동산을 운영하는 중개사로서 현장 체감분위기를 보면 시장경제원리를 크게 흔들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문정부의 정책변화의 혼란으로 즉 시장에 대한 불신, 지나친 개입, 시장의 반작용등 정책신뢰, 정권신뢰가 하락하여 정권까지 넘겨주는 원인중 하나었죠시장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수요와 공급, 심리, 기대, 자산흐름이 맞물려 돌아가야합니다. 그래서 시장경제원리가 중요하지요정부는 시장질서를 설계하되 운전은 하지말아야 한다. 이는 시장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유지해주는 심판역할만 하면 됩니다. 즉 조정자(coordinator)이지 지휘자(conductor)가 되면 안된다는 말입니다. 부동산중개는 사.. 2025. 4. 18.
대선 후 우리나라 정책 변화와 관세전쟁속 외교 6월 대선 후 우리나라의 정책변화를 예측해 보았습니다. 1. 정책 방향 변화. 경제 정책 (세금, 부동산, 일자리)복지 정책 (건강보험, 연금, 교육)외교 및 안보 전략 (북한 정책, 미국·중국과의 관계 등)디지털 전환, 환경 정책 등도 새로 강화등 수정2. 사회 분위기새 대통령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국민 통합 또는 갈등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지지자와 반대자의 반응, 언론의 보도 태도, SNS 여론도 변화의 일부죠.3. 경제 시장 반응주식시장, 부동산, 환율 등은 단기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겠습니다.예측 가능한 인물이 당선되면 안정적 흐름을 보일 수 있고, 반대로 시장이 불확실하게 느끼면 혼란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4. 공공 기관 및 정치 지형내각 구성, 고위직 인사, 검찰/경찰 등 공.. 2025. 4. 18.
부동산 매수 적기는 언제?(구축이라도 지금 사야하나?) 🏠 1. 부동산 시장, 침체에서 전환점으로현재 한국 부동산 시장은 침체기에서 회복기로 전환되는 과도기에 있습니다.상반기: 금리 부담, 대선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 PF 위기 등으로 거래가 위축된 상황입니다.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공급 부족, 전세가 상승 등이 맞물리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회복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지방 시장: 미분양 누적과 수요 감소로 침체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 2. 공급 부족은 이미 시작되었다2024년 기준 주택 인허가 물량은 전국 38만 가구로, 이전 평균(54만 가구) 대비 30% 이상 감소.특히 수도권은 입주 예정 물량이 줄어들며 ‘숨은 공급 쇼크’ 우려까지 제기됩니다.이 흐름은 2026~2027년 본격적인 주택 부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 집을 .. 2025. 4. 17.